NGO Education Survey

Sungkyunkwan University
성균관대학교

Contact Inform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25-2, SUNGKYUNKWAN-RO
JONGNO-GU
Seoul-teukbyeolsi 03063
South Korea
Eastern Asia
Asia
https://www.skku.edu/eng/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로 25-2
종로구

College: 사회과학대학(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국정전문대학원(Graduate School of State Administration)

Courses:

NGO와공공정책(NGOs and Public Policy)

Level: 석사(Master)

본 강좌는 크게 이론과 실천의 두 가지 부분을 포함한다. 이론적으로는 현대국가에서의 정책과정에 대한 개괄적이해, 정책과정에서 시민사회가 담당하는 역할에 대한 논의,정책결정자와 비정부기구의 교호작용에 대한 이해와 관계정립 방안에 대한 논의를 포함한다.실천적으로 수강생이 스스로 관심 있는 비정부기구가 실제정책과정에서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관찰하고 참여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NGOs and public policy main courses largely include two parts: theory and practice. Theoretically, it includes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olicy process in modern countries, discussions on the role of civil society in the policy process,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s between policymaker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discussions on how to establish relationships.In practice,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observe and participate in how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hat are interested in themselves function in the actual policy process.)


개발협력과원조거버넌스(Development Cooperation and Aid Governance)

Level: 석사(Master)

본 과목은 개발협력의 두 가지 분야를 학습한다. 첫째, 개발과 저개발의 복합적 성격을 이해하고 개발협력이 가져오는 기회와 한계를 연구한다. 특히 개도국의 수원국 입장에서 경제발전을 보는 시각을 훈련한다. 둘째, 원조 거버넌스를 글로벌 및 주요 국가 차원에서 연구한다. 구체적으로는 개발협력에 관여하는 다양한 국제기구 및 비정부 행위자들, 이들 기관이나 조직이 지향하는 원칙, 규칙, 규범을 연구한다.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의 원조정책과 추진체계, 규범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This subject examines two areas of development cooperation. First, we understand the complex nature of development and underdevelopment and study the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that development cooperation brings. In particular, it trains the perspective of economic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cipient countries of developing countries. Second, aid governance is studied at the global and major national levels. Specifically,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on-governmental actors involved in development cooperation, and the principles, rules, and norms that these organizations or organizations aim for are studied. It includes the contents of aid policies, implementation systems, and norms of major countries, including Korea.)


기업과 사회(Company and Society)

Level: 석사(Master)

거버넌스형 국정관리체제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관계를 모색한다. 한국의 사례분만 아니라 미국, 일본, 중국 등 한국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외국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 함의를 도출한다.

(In the governance-type national management system, the social responsibility relationship of companies is sought. It analyzes foreign cases that can give implications to Korea,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as well as Korean cases, and derives their implications.)


세계화와국제개발협력정책(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olicy)

Level: 석사(Master)

이 과목은 세계화와 그 구체적인 도전을 살펴보고 개발도상국가에 발전행정 제도와 국제기구들과 기부단체에 의한 개발 도구들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국제개발사업의 계획과 사정을 위한 적절한 기법과 복잡성을 소개하고 논의한다.

(This subject aims to examine globalization and its specific challenges and to understand development administration systems and development tools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donor organiza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It also introduces and discusses appropriate techniques and complexities for planning and assessment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세계화와글로벌거버넌스(Globalization and Global Governance)

Level: 석사(Master)

이 수업은 세계화의 흐름을 조망하고 이에 따른 글로벌 거버넌스의 변화를 분석한다. 유엔과 유엔 산하기구를 포함하여 각종 국제기구의 역할과 기능을 검토하며, 중요한 국제행위자들의 정치적 역할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 차원에서 제기되는 공공정책을 분석하고, 그 정책결과를 평가한다. 또한 글로벌 거버넌스에 대한 한국의 정책적 대응에 대해 모색해 본다.

(This class looks at the flow of globalization and analyzes the changes in global governance accordingly. It reviews the roles and functions of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and its affiliated organizations, and analyzes the political roles of important international actors. Through this, public policies raised at the global level are analyzed and the policy results are evaluated. It also explores Korea's policy response to global governance.)


정보사회와공공관리(Information Society and Public Management)

Level: 석사(Master)

본 과목은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이 공공관리와 시민-정부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터넷, 소셜미디어, 스마트폰 등은 행정과 사회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을 양적으로 또한 질적으로 변화시켜왔다. 정부 내부의 효율성, 시민 참여, 공공서비스 전달 등의 측면에서 정부기관의 작동과 관리를 혁신하는데 정보통신기술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또 앞으로 그러한 역할이 어떻게 변모할지를 논의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과목에서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클라우드 컴퓨팅, 스마트시티와 같은 최신 개념들을 정부혁신의 실제적 메커니즘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사례들로부터 공공관리의 기술기반적(technology-based) 혁신에 대해 학습한다. 특히 수강생들은 전세계적으로 일어나는 기술기반적 혁신이 공공관리를 어떻게 바꾸어놓았는지(과거와 현재에 대한 분석), 그리고 미래에 그러한 변화가 어떻게 일어날지 심층적으로 토론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specifically understand the impac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on public management and civil-government relations. The Internet, social media, and smartphones have changed the interaction between administration and society in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anner. It is very important to discuss the rol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innovating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government agencies in terms of internal efficiency, civic participation, and public service delivery, and how such a role will change in the future. In this subject, we understand the latest concepts such as big data, the Internet of Things, cloud computing, and smart cities as practical mechanisms of government innovation and learn about technology-based innovation in public management from various cases. In particular, students will discuss in-depth how technology-based innovations around the world have changed public management (an analysi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how such changes will occur in the future.)


정부·시민사회·시장의국정관리1(Government, civil society, and market management 1)

Level: 석사(Master)

기존의 행정학 패러다임인 관료제 중심의 독점적 행정서비스가 시민이 함께 하는 참여적 행정서비스 내지는 경쟁 중심의 시장 영역으로 전환되고 있다. 1980년대 이후 새로운 용어로 등장한 신공공관리론, 기업가형 정부, 작은정부론, 거버넌스 등은 모두 이러한 새로운 시각을 반영하고 있다. 이 과목은 이러한 새로운 시각에서 국정을 이해하고 관리해나가기 위한 이론과 모형, 그리고 실제를 탐구한다.

(The existing administrative paradigm, bureaucratic-oriented exclusive administrative services, is being converted into participatory administrative services or competition-oriented market areas with citizens. New public management theory, entrepreneurial government, small government theory, and governance, which have emerged as new terms since the 1980s, all reflect this new perspective. This subject explores theories, models, and practice to understand and manage state affairs from this new perspective.)


Department: 글로벌리더학부(Global Leadership)

Courses:

글로벌거버넌스와국제기구(Global Governance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evel: 학사(Bachelor)

본 강의는 학생들로 하여금 지구적 문제들과 이슈들이 어떻게 논의, 관리, 해결되는지에 대해 이해를 도움으로써 학생들이 세계화시대의 리더로 성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강의 전반부에서는 행위자, 제도, 규범 등의 측면에서 글로벌 거버넌스의 이론적 논의를 학습합니다. 유엔, 국제레짐, 임시적 협력기제로 대표되는 정부간 국제기구는 물론 글로벌 거버넌스에 참여를 높이고 있는 비정부조직들에 관해서도 공부합니다. 강의 후반부에서는 안보, 통상, 환경, 인권 등의 영역에서 작동하고 있는 글로벌 거버넌스의 실제를 탐구합니다.

(This lecture aim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how global problems and issues are discussed, managed, and resolved, helping them grow into leader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lecture, you will lear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global governance in terms of actors, institutions, and norms. We stud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hat are increasing their participation in global governance, as well as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represented by the United Nations, the International Resume, and the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 Later in the lecture, we explore the realities of global governance that operate in areas such as security, trade, environment, and human rights.)


Department: 사회복지학과(Social Welfare)

Courses:

기업과사회복지연구(Corporate and Social Welfare Research)

Level: 석사(Master)

지속가능한 복지사회 구현에 필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기업사회공헌(CCI), 사회적 기업(SE), 복지의 시장화(바우처) 등의 이슈들을 가지고 세계화 그리고 지구온난화 등 메가 트렌드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이들 개념을 분석하고 그 핵심내용들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기업과 사회복지영역이 파트너쉽을 가지고 사회문제 해결과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본 수업의 형식은 문제해결중심의 학습을 통해서 새로운 지식과 방법들을 익히고 집단토론을 통해서 심도있게 진행한다.

(These concepts should be analyzed and understood in terms of changes in mega trends such as globalization and global warming with issues such 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CCI), social enterprise (SE), and welfare marketization (voucher). In particular, companies and the social welfare sector have partnerships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realize a welfare society. The form of this class learns new knowledge and methods through problem-solving-oriented learning and proceeds in depth through group discussion.)


기업과사회복지의이해(Understanding Corporate and Social Welfare)

Level: 학사(Bachelor)

최근 전지구적 과제인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역할이 막중하다. 복지사회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초일류기업들을 포함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기업사회공헌(CCI), 사회적 기업(SE), 복지의 시장화(바우처) 등의 이슈들을 가지고, 세계화 그리고 지구온난화 등 메가 트렌드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이들 개념을 분석하고 그 핵심내용들을 알아야 한다. 특히 기업과 사회복지영역이 좋은 파트너쉽을 가지고 사회문제 해결과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본 수업의 형식은 전경련 및 삼성사회봉사단 방문 등 현장학습을 포함하는 문제해결중심의 학습방법을 통해서 새로운 지식과 방법들을 익히고 집단 토론 및 발표를 통해서 심도있게 진행한다.

In order to realize a sustainable society, which is a recent global task, the role of companies is important. In order to realize a welfare society in detail, issues such 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CCI), social enterprise (SE), and welfare marketization (voucher), including globalization and global warming, should be analyzed and the core contents should be known. In particular, efforts are required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realize a welfare society with good partnership between companies and the social welfare sector. The format of this class is to learn new knowledge and methods through problem-solving-oriented learning methods including field trips such as visits to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and Samsung Social Service, and to conduct in-depth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Department: 사회학과(Sociology)

Courses:

글로벌리제이션(Globalization)

Level: 석사(Master)

 본 강좌는 글로벌리제이션의 기원, 과정, 그리고 결과를 다룬다. 이를 위해 다음의 다섯 가지 영역에 초점을 맞춘다. 첫째, 글로벌리제이션이란 무엇이며, 국제화나 서구화와는 어떻게 다른가? 둘째, 글로벌리제이션의 추동하는 세계경제란 무엇인가? 이 세계경제의 진행 과정에서 다국적 기업들의 역할은 무엇인가? 셋째, 글로벌리제이션과 연관되는 주요 국제기구 및 비정부기구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넷째, 글로벌리제이션은 동형화를 촉진하는가 아니면 이질화를 촉진하는가? 이 과정에서 문화상대주의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다섯째, 글로벌리제이션과 초국적 사회운동은 어떤 관계를 맺는가?

(This course covers the origins, processes, and outcomes of globalization. To this end, we focus on the following five areas. First, what is globalization and how is it different from internationalization or Westernization? Second, what is the global economy driven by globalization? What is the role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the progress of this global economy? Third, what are the major international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related to globalization? Fourth, does globalization promote isomorphization or heterogeneity? What does cultural relativism mean in this process? Fifth,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


국제인권(International human rights)

Level: 학사(Bachelor)

본 강좌는 국제인권의 등장과 확산 그리고 그 효과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을 시도한다. 인권을 정당화 하는 철학적 배경, UN을 위시한 국제인권 보호를 촉진하는 규범과 제도, 인권의 측정, 인권에 대한 개인의 의식과 태도, 인권심리학, 국가인권위원회, 진실과 화해 위원회, 인권과 기업, 국제난민, 북한인권, 인권교육 등의 주제를 심도 있게 탐색한다. 인권에 대한 법적적 접근이 아니라, 사회과학적, 사회학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통상적인 인권 수업과 차이가 있다.

(This course attempts a sociological analysis of the emergence and spread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and their effects. It explore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human rights justification, norms and systems that promote international human rights protection, human right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human rights, human rights psychology,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human rights and businesses. It is different from conventional human rights classes in that it is not a legal approach to human rights, but a sociological and sociological approach.)


사회운동론(social movement theory)

Level: 학사(Bachelor)

조직화된 사회운동을 상대적으로 조직화되지 못한 자발적이며 집합적인 인간행동들과 함께 분석한다. 사회운동은 지역적, 전국적, 국제적 수준에서 변화를 위해 사람들이 모여 한 목소리를 내는 사회학적 현상이다. 이 수업에서 학생들은 사회운동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공부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사회운동이 어떻게 형성되고, 어떻게 목적을 달성하며, 사회운동에 반하는 힘이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고찰하게 될 것이다.

(Organized social movements are analyzed along with relatively unorganized voluntary and collective human behaviors. Social movement is a sociological phenomenon in which people gather and speak together for change at region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In this class, students will study social movement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Through this, students will consider how social movements are formed, how they achieve their goals, and how forces against social movements work.)


Department: 정치외교학과(Political Science and Diplomacy)

Courses:

국제조직론(international organizationalism)

Level: 학사(Bachelor)

다양한 공식적, 비공식적 국제기구의 존재는 현 국제사회의 하나의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본 과목은 최근 논의되고 있는 국제적, 지역적 협력기구의 본질을 분석하고, 이러한 국제 조직들이 국제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특히, UN, EC, NAFTA, ASEAN의 지역기구등을 통해 국제사회의 협력가능성을 살펴본다.

(The existence of various formal and informal international organizations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istic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community. This subject analyzes the nature of international and regional cooperation organizations that have been recently discussed, and studies the impact of thes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we examine the possibility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hrough reg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UN, EC, NAFTA, and ASEAN.)


Department: 행정학과(Public Administration)

Courses:

거버넌스이해(Understanding governance)

Level: 학사(Bachelor)

본 과목은 최근 행정학을 포함한 사회과학 전반에서 학문적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는 거버넌스(governance)의 개념을 이해하고, 구거버넌스(old governance), 좋은 거버넌스(good governance), 신거버넌스(new governance), 네트워크 거버넌스(network governance) 등 다양한 거버넌스의 특징을 탐구하며, 거버넌스 패러다임에서 요구되는 정부, 시장, 시민사회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 과목은 학생이 거버넌스 패러다임에서 필요한 새로운 역량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governance, which has recently become the focus of academic interest in the social sciences, including administration,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governance such as old governance, good governance, and network governance, and enhance understanding of government, and society. In addition, this subject is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acquire new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governance paradigm.)


시민사회와국정관리(Civil society and state administration)

Level: 학사(Bachelor)

본 과목은 민주사회의 국정관리에 있어 시민사회의 역할을 공부한다. 세계화시대를 맞아 민주국가에서 정부주도 국정관리가 시장과 시민사회와 협력을 통한 국정관리로 변화됨에 주목한다. 본 과목은 시민사회의 능동적 변화, 공공정책에 시민단체의 참여활동, NGO NPO의 역량강화를 통한 로컬 거버넌스, 내셔널 거버넌스, 글로벌 거버넌스의 변화를 학습한다.

(This subject studies the role of civil society in the management of state affairs in a democratic societ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ttention is being paid to the change of government-led state management from a democratic country to state management through cooperation with markets and civil society. This subject learns the changes in local governance, national governance, and global governance through active changes in civil society, participation of civic groups in public policies, and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NGOs.)


Program Information:

No programs listed.

Degree and Certificate Information

No degrees listed.
No certificates listed.

Information on Training and Other Services

None listed

Additional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