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 Education Survey

Sogang University
서강대학교

Contact Information:

Sogang University
35 Baekbeom-ro
Mapo-gu
Seoul-teukbyeolsi 04107
South Korea
Eastern Asia
Asia

서강대학교
백범로 35
마포구

개별연구 Ⅰ(Independent Study Ⅰ)


College: 경영학부(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Department: 경영학전공(Business Administration)

Courses:

기업윤리(Business ethics)

Level: 학사(Bachelor)

 급변하는 고도의 기술 및 산업화 과정과 함께 기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경영학도로서 기업의 인간화를 위한 준비로 기업윤리의 철학적 배경 및 이론과 사례연구를 통하여 기업윤리의 가치관 정립을 목적으로 한다.

(Along with the rapidly changing process of technology and industrialization, a sense of corporate ethics and social responsibility are urgently required. As a business administration student, this course aims to establish the values of corporate ethics through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theory and case studies of corporate ethics in preparation for corporate humanization.)


기업윤리와 실천적경영인재(Corporate Ethics and Practical Management Talent)

Level: 학사(Bachelor)

 기업이 이윤을 추구하면서 ‘계속기업(going concern)’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경영적 책임과 사회적 공헌 간에 균형이 필요하다. 기업도 사회의 다른 일원처럼 총체적 발전에 기여해야 하며 정당한 사회적 일원으로 존재할 수 있어야 한다. 기업은 법으로 규정된 법인격체이지만 개인과 마찬가지로 책임과 권리를 가지고 있다. 기업윤리는 단순히 경영자의 윤리적 의식 이상의 범위를 가진다. 기업윤리는 고도의 복잡성과 공동체 의식이 전제된 주제이기 때문에 철학적 도덕규범 이상의 이슈들을 포함하고 있다. 본 교과는 학생들이 기업과 경영자의 도덕적 책임은 무엇인지를 인식하도록 도울 것이며, 미래 책임 있는 실천적 경영인으로 성장하도록 인식에 변화를 주고자 계획된 것이다.

(In order for a company to grow into a 'going concern' while pursuing profits, a balance between management responsibility and social contribution is needed. Companies should also contribute to overall development like other members of society and be able to exist as legitimate members of society. Companies are legal entities, but they have responsibilities and rights like individuals. Corporate ethics range beyond just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managers. Corporate ethics includes issues beyond philosophical moral norms because it is a subject based on high complexity and a sense of community. This subject will help students recognize the moral responsibility of companies and managers, and is designed to change their perception to grow into responsible practical managers in the future.)


사회적 기업 인턴십(social enterprise internship)

Level: 학사(Bachelor)

본 과정은 사회적 기업들이 당면한 과제를 체험하고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도출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안목을 키우는데 도움을 주고하 하는 프로그램이다.

(This course provides opportunities for social enterprises to experience the challenges they face and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deriving ways to solve problems effectively, and is a program that helps them develop an eye for solving social problems through these activities.)


사회적기업 창업과 운영(Start-up and operation of social enterprises)

Level: 학사(Bachelor)

 사회적 기업가 정신은 혁신적인 방법을 통해 기존의 공공부문이나 민간부문에서 해결하지 못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을 말한다. 사회적 기업가 정신은 최근 들어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영역으로, 이익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영리기업과는 구분되는, 시회적 목표 달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Social entrepreneurship refers to efforts to solve social problems that have not been solved in the existing public or private sectors through innovative methods. Social entrepreneurship is the area that has recently attracted the most attention, and targets social enterprises that aim to achieve municipal goals,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for-profit enterprises that aim to generate profits.)


College: 공공정책대학원(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Department: 사회문화정책학과(Department of Social and Cultural Policy)

Courses:

NGO경영과 조직관리(Marketing and Management of NGOs)

Level: 석사(Master)

NGO의 경영과 의사결정에 사용되는 과학적 모형이 실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를 학습한다. 주로 선형계획, 목표계획, 동적계획 등 현실성에 근거한 의사결정 기법들을 다루고 기본적인 이론의 바탕 위에서 사례연구 및 응용논문을 통해 이러한 기법들을 현실문제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Learn how the scientific model used in the management and decision-making of NGOs is actually used. It deals mainly with realistic decision-making techniques such as linear planning, goal planning, and dynamic planning, and fosters the ability to apply these techniques to real problems through case studies and applied papers on the basis of basic theories.)


NGO와 정부관계(Issue in NGO and Government Relationship)

Level: 석사(Master)

NGO와 정부가 상호 갈등하고 협력하는 과정을 정치, 경제, 문화 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시민단체의 재정적이며 운영적인 자율성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시민단체와 정부 간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관계 변화와 그 원인을 살펴봄으로써 견제와 협력의 조화 가능성을 모색한다.

(It examines the process of conflict and cooperation between NGOs and gover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nd seeks the possibility of harmonization of checks and cooperation by examining various changes in relations between civic groups and governments, focusing on two factors: financial and operational autonomy.)


NGO의 조직과 활동(Structure and Activities of NGOs)

Level: 석사(Master)

지난 20세기를 통해 이루어진 사회변화와 경제발전의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던 국가의 위상과 역할이 급변하는 시점에서 NGO의 역할을 향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보다 발전적이며 효과적인 NGO의 조직과 구조 및 그 전략에 대한 구체적이며 현실적인 지향점을 모색하도록 한다.

(The role of NGOs i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in the future at a time when the status and role of countries that played a very important part in the process of social change an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the 20th century is rapidly changed.)


개별연구 Ⅱ(Independent Study Ⅱ)

Level: 석사(Master)

경제발전과 사회정책(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Policy)

Level: 석사(Master)

경제학적 인식의 틀이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어떻게 사회학적으로 보장될 수 있으며, 특히 경제 및 사회구조가 질적인 변화를 겪는 시대에 있어서 시장, 국가, 의식의 역할은 무엇이고 어떻게 조화되어야 하는가를 탐구한다.

(Explore how a framework of economic perception can be socially guaranteed to contribute to economic development, especially in an era when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s undergo qualitative changes, and how markets, countries, and rituals should be harmonized.)


교육정책(Educational Policy)

Level: 석사(Master)

이 수업은 한국 교육정책의 역사, 현황과 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따져본다. 특히 교육정책의 선발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교육정책에 대한 적절한 관점을 확보하고 대안들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This class examines the history,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Korean education policy from various angles. In particular,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secure an appropriate perspective on education policy and seek alternatives, focusing on criticism of the selection-orientedism of education policy.)


노동NGO 사례연구(Case Study of Labor NGOs)

Level: 석사(Master)

시민사회의 발전 과정에서 역할을 증진해 가는 NGO 가운데 노동 관련 NGO의 실제 사례를 선택하여 조직, 전략, 활동, 전망 등을 구체적이고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Among NGOs that promote their role in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they select actual cases of labor-related NGOs to specifically and intensively explore their organizations, strategies, activities, and prospects.)


노동경제학(Labor Economics)

Level: 석사(Master)

자본주의 체제 아래 노동의 경제적 존재양식을 밝히며, 노동통계의 응용능력을 강화한다.

(It reveals the economic existence of labor under the capitalist system and strengthens the ability to apply labor statistics.)


노동시장정책(Policy for Labor Market)

Level: 석사(Master)

자본주의 사회의 기본골격인 노동자와 사용자의 관계를 노동시장 분석을 통해 규정하고, 이들 양자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제반 요건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바람직한 관계의 가능성을 모색해본다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and employers, which is the basic framework of capitalist society, is defined through labor market analysis, and all requirements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 critically review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desirable relationship)


노동조합론(Labor Organizations)

Level: 석사(Master)

자본주의 발전의 기본요소들을 검토한다. 노동요소들을 중심으로 노동조합의 역할과 기능을 분석적으로 다루면서 자본주의 사회의 구성요소로서의 노동조합의 사회적 책임을 제시한다.

(Review the basic elements of capitalist development. It present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trade union as a component of the capitalist society while analytically dealing with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trade union, focusing on labor elements.)


대중매체론(Theory of Mass Media)

Level: 석사(Master)

대중매체를 통한 문화 정보의 전달과 수용에 대해 연구한다. 아울러 대중매체가 자리잡고 있는 정치․사회․경제적인 환경이 매체의 특성과 문화적 내용에까지 미치는 영향을 추적한다.

(Research on the transmission and acceptance of cultural information through mass media. In addition, it tracks the impact of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where the mass media is locat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contents of the media.)


도시․공간․문화(Space and Culture in Urban Area)

Level: 석사(Master)

대중의 일상이 문화적으로 표현되는 과정에서 공간의 성격이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면서, 산업사회의 중심적인 공간인 도시의 역사적 성격과 그것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문화와의 관계를 살펴본다.

(While understanding the impact of the nature of space in the process of cultural expression of the public's daily life, we examine the historical character of the city, which is the central space of industrial society, and the relationship with culture formed based on it.)


도시․지역 NGO 사례연구(Case Study of Urban․Local NGOs)

Level: 석사(Master)

도시 및 지역관련 NGO 연구를 심화하고 도시 및 지역 관련 NGO의 실무와 관련된 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특징 있는 도시 및 지역 NGO의 사례를 발굴하고, 발굴된 NGO의 사례들에 대한 이론적, 정책분석적 접근을 통해 다각도로 연구하여, 전문적인 실무능력의 발굴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e purpose is to deepen research on urban and regional NGOs and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policies related to the practice of urban and regional NGOs. To this end, it aims to find cases of characteristic urban and regional NGOs and to study them from various angles through theoretical and policy analysis approaches to the cases of discovered NGOs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iscovery of professional practical skills.)


도시계획론(Urban Planning)

Level: 석사(Master)

선진 공업국에서 도시계획이론과 사회주의 및 제3세계에서 발전된 이론을 검토하고 한국 도시계획의 특징과 문제점을 연구한다.

(It reviews urban planning theory and theories developed in socialism and the third world in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and studies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Korean urban planning.)


도시정책과 도시사회연구(Studies of Urban Society and Policy)

Level: 석사(Master)

도시의 생성과 구조, 변천과정, 그리고 도시화에 따른 제반문제에 대한 여러 이론과 경험적 연구를 학문적 관점에서 다룬다.

(Various theories and empirical studies on the creation and structure of cities, the process of transition, and various problems of urbanization are dealt with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도시지역사회와 사회운동(Urban Community & Social Movement)

Level: 석사(Master)

도시사회에 있어 계급 간의 관계, 이웃관계, 자발적 결사체, 정치적 의식과 참여, 사회 운동 등을 연구함으로써 현재 한국 도시의 도시 빈민지역의 사회운동을 검토한다.

(In urban society, social movements in urban poor areas in Korean cities are reviewed by studying class relations, neighborhood relations, voluntary associations, political consciousness and participation, and social movements.)


디지털시대의 영상문화(Visual Culture in the Digital Age)

Level: 석사(Master)

전통적인 방식의 표현의 매체들과 비교해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한 변화의 양상과 새롭게 출현한 매체의 특성을 탐구한다. 영상문화가 대중적인 차원에까지 수용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문화 환경에 대해 이해하고 검토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Compared to traditional media of expression, the pattern of change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characteristics of newly emerging media are explored. By examining the process in which video culture is accepted to the popular level, it foster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review the specific and practical cultural environment.)


문화․예술사(History of Culture and Art)

Level: 석사(Master)

문화 및 예술의 역사적 흐름을 살펴보고 그러한 흐름들에서 발견되는 의미와 의의를 확인함으로써 현대의 사회를 분석하고 문화예술과 관련된 정책적 가능성을 개발하는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By examining the historical trends of culture and art and confirming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found in them, we inten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analyze modern society and develop policy possibilities related to culture and art.)


문화기호학(Cultural Semiotics)

Level: 석사(Master)

현대의 문화를 기호들이 연쇄된 체계로 이해하는 기호학의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문화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구체적 과정에서 기호학적 방법이 제시하는 함의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semiotic methods in the specific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utilizing culture while reviewing the studies of semiotics that understand modern culture as a chain of symbols.)


문화기획론(Cultural Planning)

Level: 석사(Master)

다양한 문화적 현상들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행정적, 실무적 차원에서 적용할 수 있는 문화의 재생산과 파급에 관한 논의를 진행한다. 또한 구체적인 문화 생산 현장의 상황을 이해하고 그 가운데서 문화정책의 공공성이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본다.

(Based on in-depth research on various cultural phenomena, discussions on the reproduction and ripple of culture that can be applied at the administrative and practical level are conducted. It also understands the situation of specific cultural production sites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the publicity of cultural policy can function among them.)


문화법제론(Cultural Law)

Level: 석사(Master)

문화예술은 그 구현에 있어 법질서 및 제도적인 체계에 의존하고 있다. 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사회적 실천의 명시적 규범으로 존재하는 법체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여 행정적이고 실무적인 상황에서 적합한 인식과 대처방안을 수립하도록 하는 능력을 기른다.

(Culture and arts rely on law and order and institutional systems in their implementation. Develop the ability to develop appropriate awareness and countermeasures in administrative and practical situations by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legal system existing as an explicit norm of various social practices related to culture.)


문화비평(Cultural Criticism)

Level: 석사(Master)

문화예술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평들에 대한 이론적 접근들을 연구한다. 또한 그 비평들이 사회적 현상에 대한 진단이나 인간의 내적 가치체계의 서술과 어떤 과정 속에서 관련을 맺게 되는지를 검토한다.

(Research theoretical approaches to criticism in various fields of culture and art. It also examines how the criticisms relate to the diagnosis of social phenomena or the description of the human inner value system.)


문화산업론(Theory of Cultural Industry)

Level: 석사(Master)

현대 후기자본주의 시대에 이르러 부상하고 있는 문화산업에 대해 탐구한다. 문화예술의 산업화 경향과 그 특성, 문화산업의 구체적 작동기제와 정책적 조건 등에 대해 분야와 지역 등을 중심으로 구분하여 그 구체적 상황을 파악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Explore the emerging cultural industry in the post-capitalist era. The specific situation is identified and development plans are sought by dividing the industrialization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s, specific operating mechanisms and policy conditions of culture and industry, focusing on fields and regions.)


문화예술경영론(Culture & Art Management)

Level: 석사(Master)

문화예술산업에서의 기업의 경영과 마케팅 전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경영 활동의 제반 조건이 되는 정책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요인들을 다각도로 탐색하고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경영 방안을 모색한다.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corporate manage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in the culture and arts industry, policy, socio-cultural, and economic factors that are conditions for management activities are explored from various angles and effective and reasonable management plans are sought.)


문화이론(Cultural Theories)

Level: 석사(Master)

고전 사회 이론에서의 문화에 대한 논의로부터, 갈등 주의와 기능주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구조주의와 기호학, 그리고 포스트 모더니즘 문화이론에 이르기까지 사회이론에서의 '문화' 관련 논의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From the discussion of culture in classical social theory to conflictism and functionalism, symbolic interaction theory, structuralism and semiotics, and postmodernist cultural theory, discussions on 'culture' in social theory are comprehensively reviewed.)


문화행정 및 정책론(Cultural Administration and Policy)

Level: 석사(Master)

문화정책을 수립하고 행정적인 차원에서 실행하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숙지하고 실무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화 전반에 대하여 정책 및 행정이 갖는 기능, 의의, 범위, 수단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국내와 해외의 다양한 사례들을 검토할 것이다.

(The goal is to theoretically familiarize and apply the process of establishing cultural policies and implementing them at the administrative level. Regarding the overall culture, the functions, significance, scope, and means of policy and administration will be examined in detail, and various cases at home and abroad will be reviewed.)


미학연구(Studies in Aesthetics)

Level: 석사(Master)

문화적, 예술적 실천에 있어 중심되는 가치인 미에 대한 고전적이고 현대적인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현대의 사회환경 속에서 문화가 지향하고 담지하는 내용에 대한 전문적인 시각을 기른다.

(By examining classical and modern studies on beauty, the central value in cultural and artistic practice, we cultivate a professional perspective on the content that culture aims for and supports in the modern social environment.)


복지국가론(Welfare States)

Level: 석사(Master)

자본과 노동, 그리고 국가의 기능과 역할을 검토한다. 국가기구가 자본과 노동의 통제를 통해 균등한 사회발전을 이룩하여 모든 사회성원의 삶의 질을 높이는 과정을 연구한다

(It examines the functions and roles of capital and labor and the state. A Study on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All Social Members by Achieving Equal Social Development through the Control of Capital and Labor by State Organization)


복지국가론(Welfare States)

Level: 석사(Master)

자본과 노동, 그리고 국가의 기능과 역할을 검토한다. 국가기구가 자본과 노동의 통제를 통해 균등한 사회발전을 이룩하여 모든 사회성원의 삶의 질을 높이는 과정을 연구한다

(It examines the functions and roles of capital and labor and the state. A Study on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All Social Members by Achieving Equal Social Development through the Control of Capital and Labor by State Organization)


복지국가와 현대사회민주주의론 (Welfare State and Contemporary Social Democracy)

Level: 석사(Master)

사회민주주의 생성, 발전과정을 연구한 후 사회이념으로서의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특히 자본주의 사회발전과 최근의 사회민주주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 검토한다.

(After studying the process of creating and developing social democracy, it seeks to understand social democracy as a social ideology.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ist social development and recent social democracy is analyzed and reviewed in depth.)


비교문화연구(Comparative Studies on Culture)

Level: 석사(Master)

세계의 다양한 문화권에서 형성되어 온 문화적 전통이 어떻게 역사적으로, 지역적으로 변모하며 재해석되어 왔는지를 살펴본다. 각 문화가 갖는 고유성과 보편성이 사회구조와의 관계 가운데서 성립되어온 과정을 비교적으로 탐구하면서 현대의 문화적 공간과 접합하는 지점을 탐색한다.

(It examines how cultural traditions that have been formed in various cultures around the world have been reinterpreted historically and locally. It explores the point where each culture's uniqueness and universality are joined to the modern cultural space, relatively exploring the process that has been establish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structure.)


사회문제론(Social Problems)

Level: 석사(Master)

정치, 경제, 종교, 가족 등 거시적 차원에서 제도적 문제와 미시적 차원의 구체적인 일탈 현상을 한국의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 분석한다.

(It studies and analyzes institutional problems and specific deviations at the micro level at the macro level such as politics, economy, religion, and family using Korean data.)


사회변동과 인구정책(Social Change and Population Policy)

Level: 석사(Master)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한국과 세계 여러 나라의 인구정책을 개관하고 장래 인구 정책의 가능성과 방향을 검토한다.

(It outlines the population policies of Korea and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examines the possibilities and directions of future population policies.)


사회보장론(Social Welfare)

Level: 석사(Master)

사회보장 제도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각국의 예를 통하여 검토하여 각국 제도의 장단점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이 과정에서 각 지역이 지니고 있는 역사적 특수성과 사회 이념과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is reviewed through the examples of each country to comprehensively deal with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country In this process,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specificity and social ideology of each region is intensively discussed.)


사회정책론(Social Policy in General)

Level: 석사(Master)

산업혁명 이후 자본주의 사회구조의 모순에 따른 개혁과정을 살피고, 사회주의 이념의 수용을 통하여 자본주의 사회의 발전과정을 연구한다.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reform process according to the contradiction of the structure of capitalist society is examined,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capitalist society is studied through the acceptance of socialist ideology.)


사회정책분석(Analysis of Social Policies)

Level: 석사(Master)

정책대안의 수립과 정책집행과정에 나타난 집행계획, 집행절차, 투입자원, 집행활동 등을 검토하고, 집행후에 의도했던 결과가 얻어졌는지를 확인, 검토하며, 정책의 부수 효과나 부작용까지도 포함한 정책집행이 사회에 미친 영향과 충격을 연구한다.

(Review the execution plans, execution procedures, input resources, and execution activities in the formulation of policy alternatives, check and review whether the intended results were obtained after execution, and study the impact and impact of policy execution on society.)


사회정책특강(Special Seminar on Social Policy)

Level: 석사(Master)

사회정책 중 중요한 주제를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Important topics among social policies are selected and discussed intensively.)


상상력과 문화(Imaginary and Culture)

Level: 석사(Master)

작금의 '이미지 문명'의 문명사적 함의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미지'와 그것을 낳는 힘으로서의 '상상력'의 의미와 기능, 그리고 가치판단의 문제를 분석한다.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current "image civilization" are reviewed, and based on thi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image" and "imagination power" as the power to produce it, and the problem of value judgment are analyzed.)


세계화와 다문화정책(Globalization and Policies of Multiculturalism)

Level: 석사(Master)

다문화주의'의 다양한 형태와 그 역사적 발전을 바탕으로 그 기본적인 정책적 방향을 탐구한다. 그리고 이를 배경으로 가족, 이주, 종교, 교육, 언어 등의 각 분야에서의 정책적 적용을 한국과 외국의 구체적 예를 통하여 검토한다

(Based on the various forms of 'multiculturalism'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 the basic policy direction is explored. And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olicy application in each field such as family, migration, religion, education, and language is reviewed through specific examples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세계화와 문화변동(Globalization and Cultural Change)

Level: 석사(Master)

세계화라는 거대한 변환에 조응하는 국가적, 지역적 차원의 문화변동에 대해 연구한다. 물리적인 시공간의 압축과 더불어, 네트워크에 기반한 가상세계의 확대, 문화산업의 영역을 지배하는 자본의 영향력 증대와 같은 현상을 현대적인 이론들을 바탕으로 탐구한다.

(It studies cultural changes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 in response to the huge transformation of globalization. In addition to the compression of physical space and time, phenomena such as the expansion of a network-based virtual world and the increase in the influence of capital dominating the realm of the cultural industry are explored based on modern theories.)


시민사회와 시장(Civil Society and Market)

Level: 석사(Master)

시민사회와 시민운동의 기존 논의를 소개하고, 이에서 나아가 시장기제의 작동과 관련시켜 보다 광범위한 정치경제학적인 검토를 시도한다. 시민사회의 이론적 이슈들을 보다 구체적인 한국사회의 역사-정치적인 지형에서 경제발전, 교육, 세대차이, 고령화 등의 문제들과 연관시켜 논의한다.

(It introduces the existing discussions of civil society and civic movements, and further attempts to conduct a broader political and economic review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market mechanism. Theoretical issues in civil society are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issues such as economic development, education, generation differences, and aging in a more specific historical-political landscape of Korean society.)


시민운동과 시민교육(Civil Society and Civic Education)

Level: 석사(Master)

한국의 실정에 맞는 시민교육의 모델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이미 시민교육이 활성화된 다른 국가들의 경험들을 통해 시민교육의 방법과 양상을 살펴본다. 또한 한국사회의 전반적인 상황과 특히 시민운동의 활동과 연계하여 그 가능성과 한계를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한국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한다.

(The purpose is to develop a model of civic education suitable for the situation in Korea, and to this end, we examine the methods and aspects of civic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s of other countries where civic education has already been activated. In addition, we strive to find new ways to apply it to Korean society through the process of examining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 connection with the overall situation of Korean society, especially the activities of the civic movement.)


여성NGO 사례연구(Case Study of Women's NGOs)

Level: 석사(Master)

정치, 경제 및 사회문화의 역사적 맥락에서 여성문제를 관련 NGO의 사례연구를 통해 연구, 분석한다. 특히 여성 NGO의 활동을 사회 전반에서 일어나는 발전 및 변화 속에 체계적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단순한 이론적인 접근을 넘어서 보다 현실적인 활동의 방향과 방법을 모색한다.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politics, economy, and social culture, women's issues are studied and analyzed through case studies by related NGOs. In particular, in order to systematically position the activities of female NGOs in the development and change occurring throughout society, it seeks the direction and method of more realistic activities beyond a simple theoretical approach.)


여성과 가족 정책론(Gender and Family)

Level: 석사(Master)

현대사회에서의 인구와 가족의 변화양상을 토대로 여성과 가족에 관련된 주요 이슈들을 논의하고, 이와 관련된 제도 및 정책들의 함의를 검토한다.

(Based on the changes in population and family in modern society, major issues related to women and families a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of related institutions and policies are reviewed.)


여성정책론(Women's Policy)

Level: 석사(Master)

한국 여성이 직면한 제반 문제들을 포괄적으로 다루면서 이와 연관되는 사회정책의 변화추이를 검토한다.

(While comprehensively dealing with all the problems faced by Korean women, we review the changes in social policy related to this.)


영화로 읽는 현대사회(Movies and Contermporary Society)

Level: 석사(Master)

종합예술로서의 영화를 매개로 현대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훈련을 통해 영화와 사회의 관계에서 중요한 쟁점이 되는 문제들을 개괄적으로 다룬다.

(Through training to interpret and understand various aspects of modern society through film as a medium of comprehensive art, the issues that are import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and society are dealt with in general.)


이주정책과 다문화연구 (Migration Policy and Studies on Multiculturalism)

Level: 석사(Master)

현대 '다문화주의'의 근본적 구성 요소로서의 이주현상이 함축하는 바와 관련 정책들을 국내, 국외의 구체적인 예들을 통하여 분석한다.

(The implications of migration as a fundamental component of modern 'multiculturalism' and related policies are analyzed through specific examples at home and abroad.)


인구학 특강(Special Seminar on Population Studies)

Level: 석사(Master)

인구학 중 중요 문제를 중심으로 이론과 방법을 연구하고 새로운 모델을 개발한다.

(We study theories and methods and develop new models focusing on important issues in demography.)


인구학 특강(Special Seminar on Population Studies)

Level: 석사(Master)

인구학 중 중요 문제를 중심으로 이론과 방법을 연구하고 새로운 모델을 개발한다.

(We study theories and methods and develop new models focusing on important issues in demography.)


인권 평화NGO 사례연구(Case Study of Human Rights/Peace NGOs)

Level: 석사(Master)

국가, 제도 또는 시대적 상이함에 따라 나타나는 인권/평화 NGO의 다양한 개별 사례연구가 발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 사례연구는 인권/평화NGO의 다양성 속에서 공동의 방향성을 찾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Various individual case studies of human rights/peace NGOs that appear according to national, institutional, or period differences are conducted around the presentation. This case study aims to find a common direction in the diversity of human rights/peace NGOs.)


자본주의와 노동운동(Capitalism and Labor Movement)

Level: 석사(Master)

자본과 노동의 갈등관계를 밝히고 자본주의 발전과정과 노동운동의 변화과정을 검토한다. 이를 바탕으로 노동운동의 역사적 특성을 분석, 비판한 후 새로운 사회 운동으로써 노동운동의 방향을 제시한다.

(The conflict between capital and labor is revealed and the process of capitalist development and labor movement change is reviewed. Based on thi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movement are analyzed and criticized, and then the direction of the labor movement is presented as a new social movement.)


자본주의와 사회보장론 (Capitalism and Comparative Social Security Systems)

Level: 석사(Master)

세계 각국의 사회보장제도를 비교, 검토한다. 특히 사회주의 국가와 자본주의 국가의 제도를 검토하면서 남북한의 사회보장제도를 비교 사회학적 입장에서 분석적으로 다룬다.

(Compare and review social security systems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while reviewing the systems of socialist and capitalist countries, the social security systems of the two Koreas are analytically treated from a comparative sociological standpoint.)


자원봉사관리론(Volunteer Management)

Level: 석사(Master)

시민사회의 형성과 발전, NGO활동의 모태가 되는 자원봉사 정신 및 철학과 유래, 가치 등을 체득하고 시민사회 공동체의 기초적 형성요소, 비전 설정 과정과 시민운동의 현실적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효과적이며 체계적인 자원봉사의 관리 이론과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Discuss effective and systematic management theories and methods of volunteer work to learn the spirit, philosophy, origin, and value of civil society, and to acquire basic elements of civil society, vision setting process, and practical skills of civil movement.)


장애인 정책(Policy for the Disabled)

Level: 석사(Master)

장애인 복지 정책의 전반적 체계를 살피고, 한국 사회 장애인 복지 패러다임의 변화 내용을 고찰한다. 또한 장애인 복지 관련 정책현안을 파악하고 정책분석 및 정책 제안 능력을 높인다.

(It examines the overall system of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and examines the changes in the welfare paradigm for the disabled in Korea. It also identifies policy issues related to welfare for the disabled and improves policy analysis and policy proposal ability.)


재즈(Jazz)로 듣는 현대사회(Jazz and Society)

Level: 석사(Master)

미국에서 탄생한 음악 장르로 흑인과 백인의 인종을 초월한 미국인을 위한 음악에서 출발한 재즈는 오늘날 각국의 민속음악과 결합되면서 현대사회의 독특한 문화적 특질로 발전했다. 본 강좌는 이러한 사회문화적 복합체로서의 재즈를 매개로 현대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해석하고 살펴본다.

(Jazz, a music genre born in the United States, has developed into a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ety, combining music for Americans beyond black and white races with folk music from various countries today. This course interprets and examines various aspects of modern society through jazz as a medium as a socio-cultural complex.)


주택정책론(Housing Policy)

Level: 석사(Master)

한국에서의 주택정책의 추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도시화 과정, 한국 도시의 생태적 조건, 부동산 자본의 변화 추세 등과 관계하여 분석적으로 다룬다.

(The trend of housing policy in Korea is critically reviewed and analyzed in relation to the urbanization process, the ecological conditions of Korean cities, and the trend of changes in real estate capital.)


지구화와 여성문제(Globalization and Feminism Issues)

Level: 석사(Master)

지구화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라는 세계사회적 변화 속에 여성문제가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가라는 문제를 바탕으로 여성의 실업문제, 정체성문제, 세계 노동시장에서 여성 노동력의 위치 등을 탐구한다.

(It explores women's unemployment, identity issues, and the position of women's labor in the global labor market based on how women's problems are projected amid global social change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청소년 문화정책(Youth Culture Policy)

Level: 석사(Master)

청소년 문화는 문화와 사회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정책적 고려는 여전히 수동적인 청소년, 가르침을 받아야 하는 존재를 전제로 삼는다. 이 수업은 청소년 문화정책의 현황과 발전을 살피고 그 문제를 파악한다. 물론 수업의 최종적인 목적은 청소년 문화정책의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Youth culture is regarded as a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society. However, policy considerations for this still presuppose passive youth and existence that needs to be taught. This class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youth culture policy and identifies the problem. Of course, the final purpose of the class is to seek alternatives to youth cultural policies.)


특수영역연구 Ⅰ(Special Area StudiesⅠ)

Level: 석사(Master)

특수영역연구 Ⅱ(Special Area StudiesⅡ)

Level: 석사(Master)

포스트모던과 문화일탈(Postmodern and Cultural Deviation)

Level: 석사(Master)

다양한 형태의 문화발전 과정에서 문화적 정의들을 비교사회학적 관점에서 다룬다. 이 과정에서 일탈을 유도하는 요인, 일탈 집단들의 문화적 특징을 검토한다.

(Cultural definitions are dealt with from a comparative sociological perspective in various forms of cultural development. In this process, the factors that induce deviance 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eviant groups are reviewed.)


한국사회문화론(Korean Society and Culture)

Level: 석사(Master)

한국의 사회문화를 구조적인 접근과 역사적인 접근을 연결시켜 파악한다. 한국의 근대가 형성되어온 과정과 함께 탈근대로의 이행을 고려하면서 한국의 사회문화의 특징과 발전에 대해 탐구하는 과목이다.

(The social culture of Korea is grasped by connecting the structural and historical approaches. It is a subject that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Korean social culture while considering the transition to the post-modern era along with the process in which Korean modernity has been formed.)


한국사회변동과 노동운동(Social Change and Labor Movement in Korea)

Level: 석사(Master)

한국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노동운동의 특성을 밝히고 한국 사회변동에 미친 영향을 체계적으로 탐구한다.

(I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movement occurring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in Korea and systematically explores the impact on Korean social changes.)


한국사회보장제도 Ⅰ(Korea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Ⅰ)

Level: 석사(Master)

도시사회에 있어 계급 간의 관계, 이웃관계, 자발적 결사체, 정치적 의식과 참여, 사회 운동 등을 연구함으로써 현재 한국 도시의 도시 빈민지역의 사회운동을 검토한다.

(In urban society, social movements in urban poor areas in Korean cities are reviewed by studying class relations, neighborhood relations, voluntary associations, political consciousness and participation, and social movements.)


한국사회보장제도 Ⅱ(Korea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Ⅱ)

Level: 석사(Master)

현재 한국에서 실행되고 있는 여러 사회보장제도를 집중적으로 검토해 본다. 여기서 재정, 관리, 운영의 문제를 다른 사회제도의 운영과 연관시켜 논의한다.

(This lecture will focus on reviewing the various social security systems currently implemented in Korea. Here, the issues of finance, management, and operation are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other social systems.)


한국사회와 종교문화(Korean Society and its Religious Culture)

Level: 석사(Master)

한국 사회만의 고유한 특징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다종교 현상'은 한국문화를 논하는데 빼놓을 수 없는 요소이다. 이 세미나는 한국문화의 근본적 구성요소로서의 '종교문화'를 탐구하기 위해 한국사회의 다양한 종교현상을 그 분석대상으로 삼는다.

(Although it cannot be said to be a unique characteristic of Korean society, the 'multi-religious phenomenon' is an indispensable factor in discussing Korean culture. This seminar targets various religious phenomena in Korean society to explore 'religious culture' as a fundamental component of Korean culture.)


현대가족정책(Contemporary Family Policy)

Level: 석사(Master)

현대가족 문제를 집중적으로 연구 검토하고, 이러한 문제와 일탈현상과의 관련성을 기존의 연구 사례들을 통하여 살펴본다.

(Research and review modern family problems intensivel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problems and deviance phenomena is examined through existing research cases.)


현대사회와 일탈문제(Contemporary Society and Deviation Problems)

Level: 석사(Master)

범죄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사회경제적 조건들과의 관련 속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해 본다. 특히 산업사회에서의 다양한 범죄의 특징 및 그 원인에 대한 연구들을 소개하고 한국에서의 범죄현상을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Various factors affecting crime occurrence are critically reviewed in relation to socioeconomic conditions. In particular, it introduces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various crimes in the industrial society and intensively explores the crime phenomenon in Korea.)


현대사회와 조직(Contemporary Organizations)

Level: 석사(Master)

사회변화에 따른 공식조직의 제도적 역할과 특성을 정치, 경제, 사회 등의 제관점에서 살피고, 사회-조직-개인의 구조적 역할 관계에 기초한 체계적이며 현실적인 전략을 모색한다.

(The institutional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official organizations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nd systematic and realistic strategies based on the structural role relationship of society-organization-individual are sought.)


현대사회의 리더십 연구(Organizations and Leadership)

Level: 석사(Master)

현대사회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실용적 리더십 이론들을 살펴보고, 4차 혁명이 요구하는 새로운 리더십 모델의 개발과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리더십 전략을 모색한다.

(It examines various practical leadership theories raised in modern society, and seeks leadership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leadership models required by the Fourth Revolution and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현대사회의 발전과 변화(Development and Change of Contemporary)

Level: 석사(Master)

지속가능한 인간개발의 개념과 그 실천계획을 논한다. 특히 환경, 인구, 사회개발, 여성, 주거, 완전고용 등 세계화 차원에서의 개발정책의 쟁점을 신자유주의, 갈등이론, 종속이론, 세계체제이론 등의 관점에게 그 사회적 의의를 살펴본다.

(The concept of sustainable human development and its action plan are discussed. In particular, the social significance of development policies at the globalization level, such as environment, population, social development, women, housing, and full employment, i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neoliberalism, conflict theory, subordination theory, and world system theory.)


현대사회의 이해(Introduction to Modern Society)

Level: 석사(Master)

사회구조의 편성방식과 그 변동과정을 정리한 사회학의 고전이론 및 현대이론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사회분석의 능력을 기른다.

(The ability to analyze society is developed through research on classical and modern theories of sociology that summarizes the method of organizing social structures and the process of change.)


현대한국사회론(Contemporary Korean Society)

Level: 석사(Master)

한국산업화의 이념, 그 추진 세력과 사회구조를 분석적으로 재검토한 후 한국사회의 성격과 자본주의 특성을 연구한다. 이 과정에서 한국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비판하고 새로운 개량 정책을 모색한다.

(After an analytical review of the ideology of Korean industrialization, its driving force, and social structu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and capitalism are studied. In this process, it criticizes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Korean society and seeks new improvement policies.)


현대한국사회와 NGO(Contemporary Korean Society and NGO)

Level: 석사(Master)

한국 산업사회의 이념, 그 추진 세력과 사회구조를 분석적으로 재검토한 후 한국 사회의 성격과 자본주의의 특성을 연구한다. 이 과정에서 한국 사회의 구조와 모순을 비판하고 새로운 개량 정책을 모색한다.

(After an analytical review of the ideology of Korean industrial society, its driving force, and social structu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capitalism are studied. In this process, it criticizes the structure and contradictions of Korean society and seeks new improvement policies.)


환경NGO 사례연구(Case Study of Environmental NGOs)

Level: 석사(Master)

현재 활동 중인 환경 관련 NGO의 사례연구를 통해 환경문제의 발전과 쟁점 만들기, 그리고 정당, 해당 정부기관, 언론사 및 일반 시민과 다른 운동단체와의 관계 등을 연구한다. 동시에 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가 정치, 경제, 시민 영역 속에 침투, 내재화, 제도화하여 환경적 가치가 중요한 사회적 가치로 자리 잡는 과정을 연구한다.

(Through case studies of currently active environmental NGOs, they study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parties, relevant government agencies, media companies, and ordinary citizens and other activist groups. At the same time, it studies the process of penetrating, internalizing, and institutionalizing various topics related to the environment into the political, economic, and civic domains, in which environmental values become important social values.)


환경정책론(Theory of Environmental Policy)

Level: 석사(Master)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국내적 정책대응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 환경문제의 실상, 환경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 환경과 경제발전 간의 관계, 환경보존운동의 철학과 실상 등을 검토한다.

(Research international and domestic policy responses to environmental issues. To this end, the reality of environmental problems, various approaches to environmental problem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philosophy and reality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movement are reviewed.)


College: 공공정책대학원-공공정책계열(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Department: 사회복지학과(Social Welfare)

Courses:

복지국가와 현대사회민주주의론 (Welfare State and Contemporary Social Democracy)

Level: 석사(Master)

사회민주주의 생성, 발전과정을 연구한 후 사회이념으로서의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특히 자본주의 사회발전과 최근의 사회민주주의 이론과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 검토한다. 

(After studying the process of creating and developing social democracy, it seeks to understand social democracy as a social ideology.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ist social development and the recent social democratic theory is analyzed and reviewed in depth.)


자원봉사론(Volunteer Management)

Level: 석사(Master)

시민사회의 형성과 발전, NGO활동의 모태가 되는 자원봉사 정신 및 철학과 유래, 가치 등을 체득하고 시민사회공동체의 기초적 형성요소, 비전 설정과정과 시민운동의 현실적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효과적이며 체계적인 자원봉사의 관리 이론과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Discuss effective and systematic management theory and methods of volunteer work to learn the spirit, philosophy, origin, and value of volunteer work, and to acquire basic elements of civil society, vision setting process, and practical skills of civic movement.)


Department: 정치경영학과(Political Management)

Courses:

모금활동(Fund Raising)

Level: 석사(Master)

이 과목은 정치 조직과 비영리 조직을 위한 모금운동의 요소들을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성공적인 모금활동 사례를 소개하고 전문가를 초빙해 모금활동에 관한 실제 경험적 지식을 접한다. 나아가 정치조직 혹은 비영리조직의 재정 계획 작성법을 배우고, 다양한 방법과 기술을 사용하는 종합적이고 효과적인 전략수립 방법을 배운다. 학생들은 비영리조직이나 정치 캠페인 중 하나를 선택해 강의, 읽기, 조사, 과제를 통해 모금 전략을 직접 수립해 보도록 한다. 

(This course is intended to introduce elements of fundraising campaigns for political and non-profit organizations. Introduce cases of successful fundraising activities and invite experts to access practical empirical knowledge about fundraising activities. Furthermore, we learn how to write financial plans for political organizations or non-profit organizations, and learn comprehensive and effective strategies using various methods and technologies. Students choose either a non-profit organization or a political campaign to establish their own fundraising strategies through lectures, reading, research, and assignments.)


정치와 공공정책(Politics and Public Policy) 

Level: 석사(Master)

공공정책이란 무엇인가? 정부정책 의제설정에 있어서 정치의 역할은 무엇인가? 청와대의 정치적 상황이 어떻게 정부의 정책 쟁점과 정책 선택에 영향을 주는가? 이 과목은 이들 질문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다. 과거와 마찬가지로 오늘날에도 정책 선택은 정치적 결정이다. 이 과목에서는 정치적 결정의 의미와 정치적 결정이 어떻게 정책 산출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살펴보게 된다. 

("What is public policy? What is the role of politics in setting the government policy agenda? How does Cheong Wa Dae's political situation affect the government's policy issues and policy choices? This course focuses on these questions. As in the past, policy choices are political decisions today. In this subject, we will look at the meaning of political decisions and how political decisions affect policy calculation. 
")


Department: 행정.법무학과(Public Administration and Law)

Courses:

비영리조직과 행정(Non-Profit Organization & Administration) 

Level: 석사(Master)

현대사회에 있어 비영리조직의 사회적 역할과 중요성이 갈수록 증대되는바 그 원인을 살펴보고, 비영리조직의 역할, 조직구조, 운영체제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한다. 비영리조직이 정부와의 협력 및 견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측면에서 정부와의 관계설정을 분석하고, 비영리조직의 책무성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As the social role and importance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 modern society are increasing, the causes are examined, and in-depth analysis of the rol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ng system of non-profit organizations is conducted. It analyzes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s with the government in terms of non-profit organizations performing functions of cooperating and checking with the government, and also studies the accountability of non-profit organizations.)


College: 국제대학원(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Department: International Relations

Courses:

 Int’l Civil Society (국제시민사회)

Level: 석사(Master)

Int’l Relations and NGO (국제관계와 비정부기구론)

Level: 석사(Master)

Studies the role of NGOs in the transformation of contemporary international relations. Surveys major NGOs. Topics covered include: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NGOs, the relations between the UN and NGOs, major powers and NGOs, developing regions and NGOs, and the NGOs and local-global interaction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국제기구론)

Level: 석사(Master)

Surveys institutionalized interaction among states and non-state actors. Examines the international institutions as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in world politics. History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alysis of maj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role of UN in conflict management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ase studies evaluate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performance in international economic and political relations.


College: 사회과학부(School of Social Science)

Department: 사회학전공(Sociology)

Courses:

시민사회와사회적자본(Civil Society and Social Capital)

Level: 석사(Master)

시민사회의 역사적 기원과 그를 둘러싼 여러 사회철학 및 이론들을 검토한다. 시민사회에 관한 계급론적 이론들과 보다 고전적 자유주의에 기반하는 시민사회 이론들을 비교하고 검토해 본다. 이를 토대로 현재 변화하는 사회경제적 상황에서 근대 ‘시장적 관계’에 기반하는 시민사회론의 적실성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시민사회에서의 사회적 자본의 이론 및 경험연구들을 살펴본다. 인적자본, 사회적 자본, 그리고 그것의 경제성장적 함의들을 한국의 경험을 기초로 하여 논의한다.

(The historical origins of civil society and various social philosophies and theories surrounding it are reviewed. We compare and review hierarchical theories about civil society and civil society theories based on more classical liberalism. Based on this, we discuss the suitability of civil society theory based on modern 'market relations' in the current changing socioeconomic situation. And we look at the theories and experience studies of social capital in civil society.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its economic growth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experience of Korea.)


종교와 사회운동(religious and social movements)

Level: 학사(Bachelor)

독재와 인권, 불평등과 사회정의, 참여민주주의, 환경문제, 소수자 인권 등 사회 구조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사회운동에서 종교의 사회 참여적 역할에 대해서 연구한다. 고전 및 현대 사회학의 이론적 관점에 기초해서, 다양한 사례에 대한 역사적 이해, 현장 참여관찰 및 사례 분석도 병행된다.

(It studies the social participatory role of religion in social movements to change the social structure, such as dictatorship and human rights, inequality and social justice, participatory democracy, environmental issues, and minority human rights. Based o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classical and modern sociology, historical understanding of various cases, field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case analysis are also performed.)


집단행동과 사회운동(Collective Action and Social Movement)

Level: 학사(Bachelor)

다양한 형태의 집단행동과 특정 사회적 목적의 실현을 꾀하는 사회운동의 원인과 전개과정, 그 사회적 결과 등을 사회변동의 문제와 관련시켜 연구 검토한다.

(Research and review the causes and development processes of social movements that seek to realize various forms of collective action and specific social purposes, and their social results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social change.)


College: 사회문화정책학과(Department of Social and Cultural Policy)

Department: 사회문화정책학과(Department of Social and Cultural Policy)

Courses:

세계화와 다문화정책(Globalization and Policies of Multiculturalism)

Level: 석사(Master)

다문화주의'의 다양한 형태와 그 역사적 발전을 바탕으로 그 기본적인 정책적 방향을 탐구한다. 그리고 이를 배경으로 가족, 이주, 종교, 교육, 언어 등의 각 분야에서의 정책적 적용을 한국과 외국의 구체적 예를 통하여 검토한다

(Based on the various forms of 'multiculturalism'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 the basic policy direction is explored. And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olicy application in each field such as family, migration, religion, education, and language is reviewed through specific examples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Program Information:

No programs listed.

Degree and Certificate Information

Degrees

College or Department:

공공정책대학원(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Department Information:

현대사회로 올수록 사회의 복잡성과 다양성이 증대하는 경향 을 보인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 사회를 움직이는 정책적 분야 에서도 사회 현상을 심도 있고 폭넓게 바라보는 시간에 대한 필요성이 점증하고 있다. 정책 형성과 결정 과정에 필요한 이와 같은 전문적인 자질을 함양하기 위해 현상을 사회·문화적 차원 에서 분석하고 그에 대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근래에 도처에서 신설되고 있는 '문화' 관련 학과들-문화컨텐츠학과, 문화경영학과, 문화예술행정학과 등-이 다양하고 폭넓은 학문적 토대를 바탕에 두고 있다고는 보기 힘든 면이 있다. 본원의 '사회문화정책학과'는 문화 의 의미와 의의를 협소하게 해석하는 것을 지양하고 사회적 차원의 입체적인 관계 가운데서 탐구하고 분석함으로써 정책의 실무적인 역량을 배양하는 목표에 부합하고자 한다.

시민사회 및 NGO전공
현대사회의 NGO들은 사회정책의 입안과 결정 및 시행에 감시자와 조언자로서의 중요한 역할 을 수행한다. 이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인권, 평화, 환경, 여성, 노동, 도시, 지역 NGO 들의 조직, 이념, 주요 활동 등을 공부한다. 이 전공은 NGO 종사자들이나 이에 관심있는 사람 들에게는 실무를 뒷받침하는 탄탄한 이론적 학습의 기회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As we come to modern society,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society tend to increase. In this context, even in the policy field that moves Korean society, the need for time to look at social phenomena in depth and wide is increasing. In order to cultivate such professional qualities necessary for the policy forma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a curriculum is required to analyze the phenomenon at the social and cultural level and present policy measures for it.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departments related to "culture" that have been newly established everywhere-the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 cultural management, and cultural and artistic administration-are based on various and wide academic foundations. The Department of Social and Cultural Policy of this institute aims to meet the goal of cultivating the practical capabilities of policies by avoiding narrow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culture and exploring and analyzing three-dimensional relations at the social level.

* Civil society and NGOs major
NGOs in modern society play an important role as monitors and advisors in the drafting,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of social policies. In order to systematically study this, we study the organization, ideology, and major activities of human rights, peace, environment, women, labor, cities, and local NGOs. This major will be meaningful for NGO workers or those interested in it as an opportunity for solid theoretical learning to support practice.


Degree:

사회문화정책학과(Department of Social and Cultural Policy)


Level: 석사(Master)

URL: https://gspp.sogang.ac.kr/gspp/gspp03_2_2.html

Contact Information:

Tel : 02-705-8175

Email : gspp@sogang.ac.kr


No certificates listed.

Information on Training and Other Services

None listed

Additional Information